에혀, 오랫만이다. 보고 나서도 뭔가 께림칙한...
결말은 나왔는데 좀 불친절하지만 말이다. 영 거시기하다.
곰곰히 따져보면 감독이 뭘 보여주고자 한 건지도 헷갈린다.
복제인간을 통하여 21세기에 망가지는 인간의 자아를 찾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는 건가? 아니면 고도의 비즈니스에 1회용으로 전락하는 복제인간을
통하여 현대인의 정체성혼란을 보여주는 건가. 모야모야

이야기는 단순하다.
쌤은 3년 계약으로 달에서 지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자원을 채취한다.
2주 남은 쌤은 불의의 사고로 자원채취중 쓰러졌다가 깨어난다.
그리고 나타나는...
그런데 머리가 복잡하다.

보통 이렇게 나레이션을 깔고 들어가는 영화는 단순하드만 이것도 그렇다.
 
기지 이름이 SARANG - 사랑. "안녕히 계세요"라는 인사도 들리고, 허 참.

왜 나타나는 거지? 도대체 여인의 정체는 뭐야? 애인도 아니고 데자뷰도 아니잖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묘령의 여인.
그러니 사고 나는거다.
사고이후 잠에서 깨어난 쌤은 여전히 환영과 이상한 꿈에 시달린다.
또 다른 쌤이 무언가를 잡는 건지 갈구하는 건지 손을 내 뻗는다.
결국 고의사고를 내고 회사의 명령을 어기고 외부세상으로 나간다.
그녀의 딸이 15살이란다. 그럼 아기때 보고 10년즈음 지난건데...3년 계약직. 도대체
쌤은 어디로 간걸까? 계속 그렇게 처리된건가?

물음표만 왕성한 영화다. 그래도 웬지 허접스럽다거나 시간이 아깝다거나
그렇지 않은 독특한 영화.



추가 - 윽 놀라운 사실, 적어도 나에겐. 몇 명의 쌤..그 것은 그 것은...윽..복제인간의 유통기한이 3년이었다. 모든 것이 풀렸다. 왜 죽었고 아이가 그렇게 컸는지 말이다.
아... 영화 다시 봐야 겠다.
참고- http://media.daum.net/entertain/movie/view.html?cateid=1034&newsid=20091206182107933&p=ohmynews&RIGHT_ENTER=R12
어쩜 미래가 없는 3년 계약직의 쌤의 운명은 이 시대 노동자의 운명일지도 모른다.
과학은 달로 향하지만 지구로 돌아오지 못하는 복제인간의 운명인 것일까?

지구의 유일한 자연위성.
평균 약 38만4,400㎞ 거리에서 지구 주위를 서에서 동으로 공전한다. 달의 크기는 지구의 1/3보다 작으며, 적도지름은 약 3,476㎞ 정도이다. 질량은 지구의 1/81.3에 불과하며, 지구의 밀도가 5.52g/㎤인 데 비해 달의 밀도는 약 3.34g/㎤이다. 달은 태양빛을 반사해 빛을 내지만 반사율(albedo), 즉 받은 빛을 반사하는 비율은 0.073에 불과하다. 달의 밝기는 주로 달표면의 기복과 이로 인해 생기는 그림자의 양에 따라 달라지므로 위상 주기에 따라 변한다.
달은 자전축을 중심으로 29.5일 만에 1바퀴씩 자전하는데, 이 주기는 달이 지구 주위를 1바퀴 공전하는 시간과 같다. 따라서 지구에서 볼 때 달은 거의 같은 면만 보이게 된다. 실질적인 자전율은 일정하나 달이 매일 움직이면서 그리는 호(弧)의 길이는 약간씩 변한다. 따라서 달이 지구를 향하는 면도 호의 길이에 따라 달라져서, 지구에서 볼 때 달의 구면은 달의 공전주기와 거의 같은 주기로 약간씩 진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같은 겉보기 진동을 광학칭동(光學秤動)이라고 하며 그 양은 보통 6~7°이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쏘아 올린 ...
달표면은 1609년 갈릴레오가 처음 관측한 이래 줄곧 망원경의 연구 대상이 되어왔다. 달표면을 자세히 그린 초기의 월면도 중 하나는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한네스 헤벨리우스의 저서인 〈월면학 Selenographia〉(1647)에 실려 있다. 이탈리아 예수회의 천문학자 G. B. 리치올리는 자신의 저서 〈새로운 알마게스트 Almagestum novum〉(1651)에서 달표면의 어두운 지역을 바다(mare)로 표현했는데, 이들 가운데 '비의 바다'(Mare Imbrium)나 '감로주의 바다'(Mare Nectaris) 등과 같이 환상적인 이름을 썼다. 오늘날에는 달표면에 물이 전혀 없다고 알려졌으나 이같은 이름은 계속 쓰이고 있다. 위에 기술된 저서들이 발표된 뒤 수세기 를 거치면서 더욱 상세한 월면도가 제작되었고, 마침내는 달사진이 제작되기에 이르렀다. 1959년에 와서는 소련의 우주탐사선이 지구에서 볼 수 없는 달 뒷면 사진을 촬영했다. 1960년대말 미국의 달궤도선(Lunar Orbiter)은 지구에서 보이는 면과 그 뒷면을 포함한 달표면 전체를 근접촬영했다.
달에서 눈에 가장 잘 띄는 구조는 구덩이(crater)이다(→ 운석구덩이). 이들 구덩이는 지름이 약 200㎞ 혹은 그 이상 되는 것도 있으며, 달표면에 매우 많이 흩어져 있으며 종종 서로 겹쳐 있기도 한다. 큰 구덩이의 대부분은 운석(隕石)이 빠른 속도로 달표면과 부딪쳐 생겨난 것이다. 그러나 지름이 1㎞이하인 작은 구덩이는 화산폭발로 생겨났을 수 있다. 둘레에 고리가 있는 구덩이도 많이 있으며, 이같은 고리는 일반적으로 주변보다 약 1.5㎞ 정도 높이 솟아 있지만 때때로 높이가 꽤 낮은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구덩이 안에는 하나의 중앙 봉우리나 여러 개의 봉우리가 있다. 바다로 알려진 달의 어두운 지역에는 구덩이가 상대적으로 적다. 이들 바다는 대부분의 구덩이가 생겨난 뒤에 거대한 용암류가 흘러들어간 지역일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또다른 중요한 지형은 열구(rille)로서, 이는 수백㎞까지 뻗어 있는 골이 깊은 도랑이다. 이들 열구는 바다나 큰 구덩이의 경계를 이루는 산맥이나 언덕에 나란히 무리를 지어 있는 경향이 있다. 어떤 것은 구덩이 벽을 가로질러 지나기도 한다.
달의 기원에 대한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다. 19세기말 영국의 천문학자 조지 다윈 경이 내놓은 가설은 수십 년 동안 상당한 관심을 끌었다. 태양조석(太陽潮汐)에 관한 수학이론을 바탕으로, 그는 달이 처음에는 지구의 일부분이었다가 조석작용으로 지구에서 떨어져나가 점점 멀어졌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1930년 해럴드 제프리스 경은 그와 같은 과정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을 설득력있게 보여주었다. 1950년대에 나와 널리 퍼진 달의 기원에 관한 또 하나의 이론은 달이 태양계의 다른 어떤 곳에서 생겨나 나중에 지구의 인력에 붙들렸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뒤 이 이론의 바탕이 된 기본가설이 물리학적으로 있을 법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져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태양계의 기원에 대해 응결설(凝結說)을 확장시킨 것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지구는 티끌, 유성체(遊星體), 비교적 큰 소행성 등의 무리에서 물질이 유입되어 생겨났다. 반면에 달은 지구 주변에 남은 부스러기 물질이 응결되어 이루어졌으며, 달이 커지면서 지구에 흡수되지 않았다. 지구 주변에 남은 이들 부스러기 물질은 태양계가 생겨난 초기에 태양과 성분이 비슷한 물질 가운데 비휘발성(非揮發性) 원소가 모여 생겨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가 녹아 규산염물질에서 철-니켈로 이루어진 단단한 물체가 분리되었다. 이런 중금속 부스러기들이 유입되어 지구가 되었고, 반면 갓태어난 행성 주변궤도에 있던 암석질 물체가 응결되어 달이 생겨났다.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