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한 나라'에 해당되는 글 326건

처음 소고기 파동을 들었을때 그다지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저 이명박이 미국가니까 선물하나 들고 가나보다 이랬거든요.

전 소고기를 먹지 않습니다.
단지 입맛에 맞지가 않아서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죠.
형님같은 회원들이 많은 곳이라 조심스럽지만 전 어릴때 그다지 풍족하게 살지를
못했습니다.

쉽게 말해서 없이 살았죠. -.-;;
그러다 보니 어쩌다 한 번 밥상에 고깃국이라도 올라오면 그 날 밤은 배가 아파서
잠못이루곤 했던 기억이 있내요. 고기도 먹어본 놈이 먹어본다는 말을 그렇게
알게 되었습니다.
삼겹살이란 것도 고등학교때 친구들과 돈 걷어서 상추를 사고 그렇게 해서
밥먹을 준비를 하는데 저는 고기라고 씻어야 하는줄 알고 삼겹살을 물에 씻다가
타박을 큭! 생각해 보면 고기라고 마음껏? 먹어본 것이 기껏해서 군대시절이내요.
뭐 저보다 연륜이 드신 분에게야 제가 군생활 하던 시절인 90년대초의 경우야
군대 많이 좋아졌다하시겠지만 그 분 군생활 하던 시절이나 제가 군생활 하던
시절이나 또 지금의 군생활이나 가잡 못먹고 못입는 생활인 것처럼 보여지는
 시절 아니겠습니까.
그러니까 군생활이후 고기라는 것에 가까워 진 거군요.
삽겹살도 감지덕지였죠. 으례 고기 먹을 일이 생기면 누가 뭐랄 것도 없이
삼겹살을 찾게 되고 어쩌다가 소고기를 먹을 일이 몇 차례있었는데 입맛에 안 맛더군요.
안먹어봐서 그런건지 그 부들부들함이 오히려 입에맞지 않아 삼겹살 먹을 걸
하곤 했습니다.

노무현정권때도, 지금의 이명박정권때도 소고기...
사실 무심했습니다. 한편으론 농부들 참 힘들겠다 했지만 제가 안먹으니
별 상관없다 싶어지더군요.
이 얼마나 이기적인지 쩝. 10대들이 나서고 주부들이 나서고
그런 모습을 보면서 내가 무심했구나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단지 내가 먹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남일로 치부해버렸다는게 말이죠.
우리의 아이들이 먹을 것이고 또한 각종 생활용품의 원료로 쓰이게 될 쇠고기.
관심을 갖게 되면 갖을 수록 화도 나고 들여다 보면 들여다 볼수록 안타까운 현실이
주변에 점점 더 가까워 지더군요. 100분토론을 보면서 소고기도 그대로이고
국민도 그대로이고 협상당사자도 같은데 정권이 바뀌었다는 이유로
협상방침이 바뀐다는게 납득하기 어렵고
정말 육두문자가 쏟아지더군요. 과연 그들에게 국민이 있는 것인지 말이죠.
촛불 든적이 한 번도 없었는데 촛불 한 번 들어야 겠습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해야겠습니다.

내가 지금 관심을 갖지 않으면 어느날 점심식사를 하다가 반찬으로 나와 있는
소고기를 보고 혹시 미국산 아닐까 하는 마음을 가지며 조심하다가
아무렇지도 않듯 먹을 날이 오겠지요.
결국 그렇게 사는 것일까요?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

,

2008/04/10 23:21

뭐 그런 생각이네.

사실 뭐 이 땅에 평생 살고 싶은 생각도 그리는 없다.

그렇다고 내가 대한민국을 싫어하거나 그래서 일본을 좋아한다거나 미국을 흠모? 뭐 그러지는 않는다.

일본은 모르겠으나 미국땅 밟아보고 싶은 생각 전혀, 추호도 없다.

언젠가 대한민국에서 행여라도 나를 필요로 하는 일이 생긴다면 기거이 이 한목숨 바쳐야 하는거 아냐?

했던 시절,  당연지사, 청춘의 당위성이었다. 솔직이 지금은 모르겠다.

가진것이 좀 생겨서 그 것이 아까워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대한민국 아니어도 살 곳이 많다고

생각해서인지 모르겠으나 아마도 나이가 들어가며 변한거 같다.

특히 이번 선거를 보고 변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대한민국에서 잘 사는 법을 말이다.


서대문구갑 기호 1번 우상호 낙선

지난번엔 찍어서 되었는데 이번엔 찍었는데 안되었다. 이런...

지금까지의 투표전적에 1패의 흠집이 생기고 말았다. 난 민주당 지지자이다.
왜냐고? 난 김대중 전대통령의 햇볕정책을 지지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민정책과 미완이었지만

개혁을 지지했으니 말이야. 지난 10년? 그 이전에 수십년간을 말아먹고 뒤틀렸던 대한민국의 역사를

되 돌리는데 10년이 긴건가? 뭐 어떻게든 되겠지. 한 5년 그냥 잘 버티면 뭐 어떻게든 되지 않겠어?

2년전쯤인가? 서대문구 상공회의소 송년회 행사에 갔다가 우상호의원이 참석을 했었는데

서대문 구청장이 더 귀빈 대우를 받는 것을 보고 공연한 심통이 들기도 했었는데 말이다.

그 때이미 한나라당이 지자체를 장악을 하고 있엇는데 이젠 국정까지 완전 장악을 해 버렸다.

행정수도 정책도 당시 시장이었던 이메가가 신문전면광고며 반대입장에 노무현과 맞짱을 뜨던 시절이니

뭐 어련하겠는가. 지난 10년이 아깝다. 이제 변하기 시작한 대한민국인데 말이다.

우상호 전의원님. 수고하셨습니다. 그 인상좋은 모습 다시 꼭 보기를 기원합니다.


근데 김근태 전의원이 떨어지는 건 뭐냐고. 그 것도 신지호한테?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인정하자.


 TV를 켰다가 중국 CEIBS(중국유럽국제비즈니스스쿨)이 나오길래 보다가

필리핀 쌀대란까지 보게되었다. 북경대, 칭화대를 졸업한 인재들, 유수의 기업 출신들이 다시 들어와

엄격한 교육을 받고 졸업할때는 거액의 연봉을 받고 스카우트 되어 세계 경제의 파워네트워크로 성장한다.

한 쪽에선 급등하는 쌀값으로 인해정부에서 방출하는 정부미를 사기 위해 온가족을 동원해서

쌀 한 봉지에 안도하는 그들. 1Kg에 우리나라돈으로 1000원 내외한다. 즉 우리나라 쌀값과 비슷해져

버렸다. 1달라로 연명하는 국민이 30%인데 쌀값이 우리와 비슷하다. 오오오~~~옷

한 때는 세계적인 쌀 수출 대국이었던 필리핀이 지난 수십년간 농업선진화를 등한시하며 돈을쫓아

농지를 주택으로, 상가로 바꾸어 가며 자초한 현실. 결국 감당은 국민몫.

그래도 마르크스 독재시대가 좋았다는 사람들이 바로 서민들.


뚱딴지 같은 생각이 들더라. 최근까지도 인도의 카스트제도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그 것이 어찌 인도에만 있으랴. 대한민국에도 존재한다. 아니 세상엔 존재한다.

마키아벨리가 대중은 무식하다라고 콕 찝었듯이  그걸 밟고 올라 상류층으로 존재하고

가뭄에 콩나듯 나타나는 영웅이나 선지자 또는 지도자를 기다리는 하층민은 피곤할 수 밖에 없는 존재다.

그래서 죽기 살기로 상류층이 되고자 발악을 하는지 모르겠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것은 비단 경제학에서뿐은 아닌거 같다.


나도 변하는 거 같어. ㅎㅎ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