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영화를 보다가...우리나라의 마지막 황제는 순종
아주 가끔 이런 생각을 해 본다. 우리나라도 왕실을 복원하면 어떨까하는... ^^;;
가끔 말이야.

영화는 푸이가 서태후에 의해 황제로 지명되면서 시작을 하지.
황제라는 자리. 그 것도 중국에서의 자리는 뭐 말 안해도 각별한 자리.
인구가 수억일데 만인지상에 신과도 동격의 자리나 마찬가지.
당시의 중국에서는 말이지. 그런데 모든 권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정세로 말미암아 꽤나 불안한 삶을 산거잖아.
뭐 개인적인 동정은 차치하더라도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들어서면서 중국인들의 삶도 급격하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많은 혼란이 있었겠지만  뭐 황제나 일반인이나 비슷한 거겠지만
역사적인 위치에서 푸이를 돌아보는 것이 중국의 당시상황을 반추할 수도 있을거야.




푸이의 자서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영화라고 하지만 여러 뉴스기사를 보면
간혹 달라지는 사실들도 있어. 이를테면 영화에서는 푸이의 아이를 일본인이
죽이는 것으로 나오지만 푸이는 훗날 자신이 화로에 던져버렸다고 하는 무시무시한
발언을 하지. 언제부터인가 푸이는 황제라는 위치에 대해 의문을 품어보다가
달라지는 세상에서 황제로서의 권위에 집착하는 모습때문에 결국은 일본의
술수에 넘어가 만주국의 황제가 되어 결국은 꼭두각시역할 밖에 못하는거야.

자신의 아내, 그리고 후궁과의 갈등과 헤어짐.
전범으로 감옥에까지 함께 한 시종과도 갈등을 일으키게 되고
하늘과 땅차이만큼이나 변화가 큰 푸이라는 사람을 이야기 하며 중국을
보여주고 있는 지도 몰라. 푸이는 중국 그 자체였을테니 말이야.
당시 중국이란 나라는 서구인에게는 여전히 그리고 지금도 신비스러운 나라이니 말이야.
하지만 그 것을 보면서 나또한 푸이에게 연민을 갖게 되는건 아마도 그의 인생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크나큰 변화는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한 것이라는 거지.
뭐 당싱의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도 그랬잖아.
그러니 꼭 뭐 남일 같지만은 않다는 것일까? 동병상련?
그 때의 느낌을 어찌 알 수있을까 만은 그래서 이런 영화를 보는 거잖아.

영화 괜찮다. 기억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다.

신해혁명;

1906년 서거한 광서제의 뒤를 이어 겨우 네 살에 황위에 오른 푸이는 즉위 3년 만에 중국을 뒤흔든 신해혁명의 물결에 휩쓸려 황제 칭호와 사유 재산만 인정받은 채 퇴위당한다. 황후와 후궁을 맞이 하게 되고, 영국인 가정교사의 영향으로 신사상에 매료된 그는 서양으로의 유학이라는 꿈을 갖는다. 황실 재산의 좀을 먹는 환관들을 축출하고 새로운 인물을 기용하는 등 나름대로 황궁 내의 개혁을 시도한다.

 

1924년 군벌 풍옥상의 쿠데타로 그는 결국 자금성에서 쫓겨나 청나라 황제의 칭호를 빼앗긴다. 만주에서의 영향력행사를 위한 일본인들의 획책에 넘어간 나머지는 그는 유학의 꿈을 접고 만주국의 황제로 우뚝 올라선다. 그러나, 만주국의 황제라는 칭호는 허울에 불과하였고 실권은 일본인들이 쥐고 있었고 푸이의 우매함에 격분한 황후는 아편 중독에 빠진다. 이차세계 대전이 일본의 패전으로 끝나자 푸이는 일본으로의 탈출을 시도하지만 만주국에 이미 들어온 소련군에게 체포되어 중국으로 넘겨진다.


중국 마지막 황제 푸이의 첫 번째 부인 완룽


1964년 출간된 청의 마지막 황제인 푸이의 자서전 원본 문장이 발견되어 새로 출간된 자서전에는 완룽이 톈진에서 다롄으로 가던 길에 그녀의 오빠가 동생을 동행하던 일본 군관에게 팔았다는 것과 사생아를 임신한 사실을 알고 굴욕감을 느낀 푸이가 일제가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할까봐 완룽이 아이를 낳자마자 화로에 집어 던졌다는 내용이 있다고 한다.

 



  • 오빠네이발관님
  • 2004-09-01 12:00
  • 청조의 마지막 황제 푸이(溥義-부의)는 1908년 불과 3세의 나이에 서태후에 의해 황제에 등극하여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은 모두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교육을 받고 신처럼 주위의 사람들로부터 추앙을 받았던 사람입니다.
    그러나, 3년 후 신해혁명으로 인해 청조는 붕괴하고 중화민국이 성립됩니다. 그러나, 갑작스런 변화는 사회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 중화민국 정부는 푸이에게 황제에 대한 예우 조건으로 일정한 돈을 주면서 황실을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해주어 푸이는 계속 자금성 안에서는 황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어린 푸이의 삶은 그리 큰 변화가 없어 푸이는 밖의 정세를 거의 알지 못하고, 계속 중국의 황제인 줄로만 압니다.
    그러나, 성장하면서 자신의 위치를 알게 된 푸이는 중국의 국내외 정세에 관심을 갖고 각종 신문의 사설을 읽어가며 사정을 파악하게 됩니다. 푸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가정교사 죤스톤이었으며, 결혼 후에 죤스톤은 그의 보좌관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1924년에 당시 군벌이었던 풍옥상의 부대가 자금성을 포위하고 푸이에게 자금성에서 떠날 것을 요구합니다.
    자금성에서 쫓겨난 푸이는 명목상 평민으로 돌아가지만 풍옥상 부대의 감시 적인 태도에 염증을 느끼고 죤스톤의 도움으로 천진의 일본 영사관으로 피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만주사변(滿洲事變) 때 일본군에 의해 몰래 끌려나와 1932년 일본의 괴뢰국인 만주국을 집정(執政), 1934년 왕이 되었습니다. 푸이는 1935년과 1940년에 일본을 방문하였으며, 일본에서 일본황제을 만나고 돌아와서는 만주국이 허울만 좋은 꼭둑각시라는 점을 깨닫게 됩니다.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고립된 만주국, 일본군은 푸이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비행기로 탈출을 꾀합니다. 하지만 황후로 인해 우왕좌왕하는 순간 소련군에게 체포되어 하바로프스크에 억류되었으며, 1946년 극동국제군사재판 때 증인으로 출두하였습니다. 1950년 공산정권하의 중국에 송환, 중국 공산당들은 푸이를 전쟁포로로 체포하고 심문하였으며 푸이는 긴 감옥생활을 하게 됩니다.
    1959년 특사로 풀려나와 식물원 정원사로 일했습니다. 그러다 1964년 인민정치협상회의(人民政治協商會議) 전국위원(全國委員)이 되었으며, 저서 《나의 전반생(前半生)》을 출판하였습니다. 바로《나의 전반생》이 감독 B.베르톨루치의 《마지막 황제》로 영화화되어 세계적인 반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1967년 10월 16일 사망 후 베이징 시내의 팔보산(八寶山) 공동묘지의 인민납골당에 유해가 안치되었다가, 1980년 5월 팔보산 혁명공묘(革命公墓)로 옮겨졌고, 1995년 1월 26일 베이징 남서쪽 허베이성[河北省] 이현[易縣]에 있는 청나라 황릉(皇陵)으로 이장되었습니다. 이로써 사망한 지 28년 만에 청나라 황제로 복권 됩니다.


    그 이름 서태후 

    '心身FREE > 책,음악,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의 노래  (0) 2008.12.20
    하얀 겨울 Mr 2  (0) 2008.12.17
    고모라 GOMORRA  (0) 2008.12.14
    Felon 페론  (0) 2008.12.10
    리얼 영 레이디 real young lady  (0) 2008.12.09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원문출처 : 상반기 울고 웃은 테마주
     원문링크 : http://www.chosun.com/economy/news/200607/200607120492.html
    상반기 울고 웃은 테마주
    환경 SOC수혜주 반도체재료 뜨고
    단말기 LCD부품 보안솔루션 지고

    올해 증시에서 테마주의 수익률이 천차만별로 나타났다. 증권전산 분류 기준 31개 테마 중 가장 많이 오른 ‘환경관련주’ 테마는 연초 대비 13.04% 올랐지만, ‘단말기부품생산’ 테마는 36.25%나 내렸다. 두 테마 간 주가는 정반대로 흐르면서 연초 이후 주가 상승폭이 50%포인트 가까이 벌어진 것이다.

    테마주는 유행에 따라 개별 실적을 보지 않고 무조건 ‘묻지마 투자’를 할 때는 문제지만, 시장의 내·외적인 이슈나 호·악재가 생기면 주가가 함께 움직이는 종목군이라는 의미에서는 투자에 참고가 된다는 지적이다.

    ◆단말기부품·바이오·LCD테마 폭락=휴대폰단말기 부품 생산 테마와 바이오테크, LCD관련 부품업체는 각각 연초보다 36.25%, 29.37%, 27.8%나 폭락했다. 단말기 부품 생산 테마의 경우 최근 VK 부도 사태에서 알 수 있듯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휴대폰사업의 업황이 크게 나빠져, 관련 부품 업종의 주가가 급락했다. 메리츠증권 전상용 애널리스트는 “중국산 저가제품까지 유입돼 국내 단말기 업체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라고 말했다.

    지난해 코스닥시장을 뜨겁게 달궜던 바이오테크 테마는 ‘황우석 쇼크’ 이후 이렇다 할 호재가 없었던 데다 대부분의 관련 업체에서 연구성과 및 수익성에 대한 가시적인 실적이 나오지 않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LCD관련 부품업체 테마의 경우 LG필립스LCD가 2분기에 사상 최악의 실적을 보일 정도로 업황이 나빠지면서 동반 하락했다.

    안철수연구소를 제외하면 이렇다 할 실적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보안솔루션 테마도 연초보다 33.09%나 급락했고, 일본의 금리인상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가운데 엔화약세 수혜주도 연초보다 28.18% 급락했다.


    ◆환경·SOC 관련 테마 약진=반면 환경 관련주 테마와 SOC활성화 수혜주 테마는 상반기 증시의 조정양상에도 불구하고 각각 13.04%, 12.74%나 올랐다.

    대한투자증권 임세찬 연구원은 “환경관련 규제가 강화되면서 환경관련 산업의 확대전망에 따라 환경관련주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SOC활성화 수혜주 테마는 정부의 내수경기 부양책, 신도시 건설, 유가상승에 따른 중동 건설 붐 등에 힘입어 코스피지수를 훨씬 웃도는 주가 흐름을 보였다.

    반도체 재료업체 테마는 D램 가격의 회복세에 힘입어 주가 상승세를 보였다. 무선 인터넷 테마는 관련 서비스매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데다 연초 시장에 관심이 집중됐던 DMB관련 테마와 묶여 상승세를 탔다는 분석이다.

    ◆테마보다는 개별 종목 실적 따져야=다만 테마주는 동떨어진 업종의 종목도 특정 이슈에 대해 비슷한 주가 흐름을 보인다는 이유로 같은 테마로 묶이는 경우가 많은 만큼 업종만큼은 정밀한 분석을 하기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실적 등과 같은 구체적 숫자보다는 분위기에 따른 주가 등락이 심해 ‘투자’가 아닌 ‘게임’으로 흐를 가능성이 큰 만큼 참고에 그쳐야 한다는 것이다.

    염강수기자 ksyoum@chosun.com
    입력 : 2006.07.12 22:14 44' / 수정 : 2006.07.12 22:19 00'

    '휴가있는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9일 매매일지  (0) 2009.01.10
    새해엔 어떤 테마株 뜰까?  (0) 2009.01.03
    이젠 쉬고 싶다.  (0) 2008.12.16
    오늘 다 손절했다.  (0) 2008.11.13
    KBS 스페셜 : 욕망과 혼돈의 기록, 도쿄 1991  (0) 2008.11.09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요즘 손대는 것마다 붙어주는 것이 덜컥 겁도 나고...^^;;
    팔지 않는 이상 수익이 아니라는 생각에 오늘 60% 매도했습니다.
    이번달 수익율 15%를넘긴 것도 목표수익률을 훨씬 초과했기에
    잠시 떨어져서 보려고 말이죠.

    현재 가지고 있는 주식은
    SK텔레콤 -0.09
    삼천리자전거 -0.07
    sk브로드밴드 -0.12
    미리넷 -0.55
    휴먼텍코리아 -0.54

    죄다 마이너스군요. ^^;; 차근차근이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
    요즘 주식에 너무 신경을 썼더니 새벽에 잠이 깨고... 흠...
    담배도 늘고... 이런~~~ 폐인모드가 되어 버렸습니다.

    사실 나같은 사람이 잘 나간다는 것?때문에 오히려 걱정이 된다.
    단기 불붙은 것 같기도 하고 작년에 워낙 대어서...
    그런 경험에서 얻은 거라고나 할까?
    욕심 많이 부리지 말자.
    배가 부르니 쉬어야지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마치 진리인양 어느 하나를 깨지 못하면 세상은 그대로 정해진 길을 걸어간다.
    그 것을  떼어내야지 새로운 세상을 볼 수 있다.
    누구 하나 지구 온난화가 이산화탄소때문이라는 것에 일언반구할 수나 있을까?
    예수의 실존에 의문을 품는것과도 같은 지구 온난화의 의문들
    뭐 그렇다고 내가 이 다큐에 무조건적인 동의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의구심을 한 번은 품어보는 것이다.

    내가 갖는 가장 큰 의구심은 이 것이다.
    탄소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나라들은 제조업들이 없는 나라들일 것이다.
    제조업이 국부 창출에 지대한 공을 차지 하지 않는 나라들.
    금융이나 서비스 등 3차 4차 산업이 국부를 선도하는 나라.
    다수의 제조업이 이미 다른 나라로 이전한 곳들. 결국 온난화이슈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받는 국가는 제조업에 국가역량을 총집결하는 중국이나 중진국들, 그 것은
    아시아일수도 있고 동유럽이나 남미일 수 것이다. 결국 선진국들은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 더 많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연구를 할 수 있지만 먹고 살기 바쁜 나라들이
    그 것에 신경을 쓸 여력이 있을 것인가. 결국 선진국에서 탄소배출권을 사서
    자국 산업에 이용해야 할 것이며 결국 비용의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며
    경쟁력이 약해질 것이 아닌가.

    뭐 그렇다는 것이다.
    마치 장하준 교수가 말한 선진국의 사다리 걷어차기의 하나라고나 할까?

    탄소배출을 줄여야 하는 당위성에는 당연 동의한다.
    인간의 생존과 결부된 문제이다. 하지만 그 것은 불확실한 지구온난화의
    이유는 아니다. 오일피크는 멀게 보일지 몰라도 언제가 현실이 될지 모르며
    석유로 인해 벌어지는 수많은 참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석유에 인류의 삶을 기대어서는 안된다.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산만하다. 인생이 그런건가?
    지루하진 않다. 평화롭지 않아서 심심할 틈이 없다.
    이탈리아라는 나라
    범죄와 함께 숨을 쉬는나라가 미국뿐이 아니구나.

    이탈리아는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밀라노등이 세계적인 공업도시가 있는
    북부와 시칠리등 남부의 빈부의 격차가 심각해 사회적인 갈등이 문제가
    되고 있는 곳이다. 선진국은 빈부갈등이 덜 할 줄 알았더니 그 것도 아니군.
    어쨌거나 이탈리아의 총리이자 최대언론재벌인 베를루스코니는 경제를 기치로
    총리에 선출된 사람이다. 그에게 아직도 희망을 부여잡고 있는 이탈리안이
    있는 것처럼 대한민국도 그런 희망을 상당수가 가지고 있다.
    기업가 출신의 CEO로 성공한 대통령이 있는지 궁금하다.

    썬텐실에서 벌어지는 총격사건.
    이 영화를 보게 되면서 이탈리아라는 나라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본다.

    쉽게 마약이 거래가 된다.

    빈민가를 무대로 벌어지는 없는 사람들의 살벌한 이야기

    까짓 호기는 쉽게 부린다.

    10대의 친구도 같은편이 아니면 죽음을 당할 수 있다.

    트럭을 모는 아이.

    언제 총알이 날아들지 모른다.

    이게 영화라고? 아니다 실화를 근거로 만들어진 영화다.


    무서운 세상이다. 돈이 최고인 세상에서는 우정도 신의도 땅에 떨어진다. 돈이 최고인 세상이다. 돈 많이 벌게 해 줄테니 나를 따라오라는 말이 먹혀드는 세상이다.

    '心身FREE > 책,음악,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얀 겨울 Mr 2  (0) 2008.12.17
    마지막황제  (0) 2008.12.17
    Felon 페론  (0) 2008.12.10
    리얼 영 레이디 real young lady  (0) 2008.12.09
    이정석 - 첫눈이 온다구요  (0) 2008.12.09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한심해서 TV끄고 인터넷 들어왔다.
    1년안에 화악 뒤집어 놓고 내 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임영박씨가 움직일 거 같다.
    어쩜 땡전뉴스가 나올지도 모른다.
    하긴 방송법개악하고 나면 조중동은 물론 재벌까지  나서서
    혁명 아니면 정말 돌아가기 어려운 길을 걸을 지도 모른다.
    요즘 돌아가는게 과거로 회귀하는 건 당연지사의 일인가?
    시계가 뒤로 가니 시계가 제로다.

    예산안은 증액해서 16분만에 땅땅땅
    형님예산 OK.
    대운하 전초전격인 4대강정비 OK

    답답합니다요.

    곰곰히 생각을 해 봤는데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대통령의
    최대의 실수는 정치보복을 하지 않은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