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 기타 한 번 안 쳐본 사람 있을까? 플레이가 아닌 말그대로 기타를 쳐 본다는 것에 한해서 말이다.

기타를 치려면 각종 코드를 외워야 하고 악보를 볼 줄 알아야 하지만 어릴적 기타를 쳐보는 것이 아니라

정말 코드나 악보를 몰라도 기타를 연주할 수 잇다. 에어기타이다. 에어기타는 그저 기분 내키는 대로 치면 된다. 하지만 연주자로 인정받고 있으며 일본,미국등 각지에서 선수권대회를 가지고 있다. 에어기타를 검색해 보면 전 세계의 에어기타 연주자들의 연주모습을 볼 수가 있다. 말 그대로 어릴적 허공에 기타를 치는 시늉을 하며 노래를 부르거나 나름 개인기? 하던 에어기타를 제대로 연주?하는 거다. 나름 아트의 반열에 오른 에어기타. 가볍게 동영상부터 감상해 보자.


일본의 버라이어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에어기타 연주모습.


에어기타는 세계 선수권대회조차 있을 정도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핀란드에서 열린 에어기타선수권대회. 출연자들은 하드한 음악에 맞춰 머리카락을 흩날리거나 공중에

기타를 던지는등 과격하고 요란한 행동을 하는 열정적인 공연을 펼쳤다.

우승자에게 주어진 선물은 대회성격에 걸맞게 "일렉트릭 기타" 아. 투명한 일렉트릭기타이다.


우리나라에도 에어기타가 대중화가 된다면 아마 길에서 악기를 무료로 빌려주는 업체들이 등장할 지 모르겠다.


또 다른 기타


기타라는 악기는 치기 어렵지만 어릴적 부터 하드하게 플레이하는 연주자들의 모습을 보며 감정이입을

해 보기도 하던 친밀한 악기중 하나가 아닌가 한다. 어쩜 그런 이유로 이렇게 에어기타와 같은 연주자들이 생기는 지도 모르겠다. 악기를 다룰줄 모른다는 이유로 놓치기엔 너무나 아까운 로망일지도 모른다.

에어기타를 상품화한 제품들도 여럿이 있다. 아래는 웹캠으로 동작을 인식하여 기타연주화 하는 제품이다. 아직 시제품은 나오지 않은 것 같다.


또 다른 제품들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기타리스트와 같은..은 아니고 비슷한 연주를 할 수가 있는

제품이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출시되었으며 각 코드들이 버튼화 되어 있고 적외선을 팅겨줄 경우

그 코드의 음이 들리는 기기이다. 이름도 에어기타. 굿 아이디어!


에어기타 사용안내


에어기타 시연



우리나라에서 에어기타가 그다지 미미한 이름을 얻고 있지만 나름 예술의 한 장르라는 거. 에어기타를 소재로 한 영화 에어기타 대결! 이 영화는 제5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 출품되었다고 한다.


전문적으로 에어기타 선수권대회에 출전을 목표로 하지 않더라도 개인기 시대인 요즘, 에어기타 하나 빼들고 연주를 한다면 아마도 모두의 눈과 귀를 휘어잡는 "스타탄생" 개인기로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해결책이 되지 않을까?


http://www.11st.co.kr/product/SellerProductDetail.tmall?method=getSellerProductDetail&prdNo=730980138&trTypeCd=21&trCtgrNo=null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산업용 내시경으로 관,파이프 또는 자동차나 항공기의 엔진등을 검사하는 장비이다. 2012년 올림푸스도 내시경산업에 뛰어들정도로 내시경은 산업의 주요 전반에 없어서는 안될 기기이기도 하다.


유명 브랜드의 내시경은 가격이 백만원대의 제품이 나오고 수 백만원을 홋가하는 제품도 나오지만

일반 자동차정비소나 산업현장에서 부담스러운 가격이기도 하다. 수퍼아이즈의 내시경은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한 제품으로 세계에 수출이 되는 제품이다. supereyes는 중국 심천에 기반을 두고 있는

D&F의 브랜드로 각종 전시회를 통해 세계에 수출이 되고 있는 상품이기도 하다.


Tudow 영상 보기


수퍼아이즈의 고급형 산업용 내시경인 B006 제품이다.


붉은색의 플라스틱 케이스에 제품이 담겨있다.

케이스를 열면 기기본체와 av케이블 그리고 설명서가 보인다. 설명서는 아쉽게도? 영문이다. 하지만

아~~~주 단순하다. 스마트폰 사용할 수 있는 실력이라면 누워서 떡먹기!

렌즈는 미국 옴니버스 9파이 렌즈를 사용하며 생활방수를 지원한다. IP66

국내에서 판매되는 제품중 유일하게 착탈식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micro sd(tf)카드를 이용한다.

반대면에는 av out케이블과 usb(충전 및 데이타전송) 슬롯이 보인다. 기기상의 오류가 있을때 reset버튼을 눌러 기기 초기화를 할 수가 있다.

LED를 지원하기에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용이하다.

인터페이스는 상당히 단순하다. LCD를 통해서 볼 수 있지만 스마트폰과 비교해선 안된다. 어쩜 투박하다고 할 정도의 인터페이스이다. 산업현장에선 단순하고 튼튼한게 최고의 미덕이다. 



수퍼아이즈의 좋은 점은 이 회사의 현미경이나 산업용내시경 전 제품이 이런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상호 호환이 된다. 그래서 내시경으로 촬영한 부위이 길이나 원지름,각도등을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메모로 기록을 남길 수도 있다.

충전은 일반 usb케이블로도 가능하지만 가정용 usb전원어댑터를 연결하면 충전이 빠르다.

에어콘 실내촬영장면.


촬영하는 장면을 녹화하여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자체적으로도 재생이 가능하여 작업중에 다시 재생하여 보여줄 수가 있다.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스마트폰 렌즈를 이용하면 보다 다양한 촬영장면과 경험을 할 수가 있다는 것을 포스팅한 것처럼 3개의 렌즈( 광각,어안,접사)가 있긴 한데 사용빈도를 보면 접사렌즈는 그다지 촬영하지 않는 것 같다.
아주 가까이 사물을 촬영할 일이 없어서일까? 이 글을 쓰면서 보니 갑자기 내가 그 만큼 사물에 대하여
무관심하다는 것이 아닐까 하는 자기반성도 되긴 한다. 쩝. 
흠, 접사렌즈를 물려놓고 책상이든 담배든, 

볼펜이든 가까이 보고 "우와~~" 신기하다 " 이런 천진난만한 미소라도 연출해야 겠다. 쩝.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아이폰, 갤럭시S3든 S4이든 옵티머스G프로이든 문제 없다. 물론 베가아이언,

베가레이서 모두 광각렌즈,어안렌즈,접사렌즈를 사용할 수가 있다. 바로 LQ-001이다.


어떻게 이 것이 가능할까는 뒤에 나오는 사진을 보면 이해가 된다.


우선 촬영물이다. 폰렌즈로 촬영한 사진

 광각렌즈로 촬영한 사진

 어안렌즈로 촬영한 사진

 

LQ001은 지금까지 나온 스마트폰용 렌즈와는 다르게 국내 대부분의 폰, 그러니까 갤럭시S4부터 시작해서 베가 아이언, 옵티머스G프로 등 전부 다 사용한다! 고 말하고 싶으나 죄다 확인을 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나 대부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아이패드, 갤록시노트10.1등 스마트패드 역시 가능하다.


패키지는 이런 생김새다. 아이폰이든, 섬송?이든 HTC든 다 통용된다. 태블릿PC에도 램탑에도 말이다.

구성품이다. 케이스를 열어보면 클립과 함께 어안렌즈가 장착되어 있고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와

커버가 덮여진 광각,접사렌즈가 있다. 그리코 전용파우치가 오른쪽에 있다. 모든 스마트폰이나 패드까지

커버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클립방식의 장착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클립이 물리기만 한다면 램탑도

사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것이 어안렌즈이다. 검은색의 클립에 나사형태로 돌려서 끼워진 상태이다.

 왼 쪽으로 풀면 이렇게 풀려서 교환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 아래의 광각렌즈와 접사렌즈를 장착해서 교환 사용을 할 수가 있는데 접사렌즈를 사용할 때는

아래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일 작은 렌즈만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광각렌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렌즈를 먼저 조립한 다음에 그 것을 다시 클립에 장착하면 된다.

 

이렇게 일반카메라 렌즈로 촬영을 하면 이런 모습.

 어안렌즈로 사용했을 경우 이렇게 전체가 보여진다.


아이패드에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정말 노트북에도 가능하다.


동네 작은 놀이터의 사진. 놀이터는 언제 봐도 평화롭다. 그런데 나 어릴때 보단 확실히 작아진 것 같다.

놀이터의 크기만큼 아이들의 꿈도 커지는 것은 아닐까?


어안렌즈 구매하기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심천에서 스마트폰시장을 갔다가 우연히 아이패드2강화유리를 발견하고 샀다. 이미 구형제품이

되어버렸을 테지만 사고자 하니 120위안, 우리나라돈으로 약 21.000원 정도.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판다고 했던가. 다른 곳을 찾아봤지만 아이패드2는 이미 단종이 되어 버렸는지 보이지를 않는다.

그래도 내가 직접 수리하면 아마도 10만원 이상일 비용에서 줄이는 셈 치고 하나를 사 가지고 왔다.

그리고 날을 잡아 인터넷을 뒤져서 아이패드2 강화유리 자가수리 DIY를 검색해서 일단 숙지를 한 다음

진행을 해 보았다.

 

우선 헤어드라이어를 통해 뜨끈뜨끈하게 열을 가한 후 강화유리를 들어내는 작업이다.

뒤에 알았지만 강화유리 뒷면에는 접착력이 강한 양면테잎으로 아이패드의 강화유리와 본체가

붙어 있었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는지 대단하다. 혁신의 아이템에 양면테잎이 지대한 공을 하고

있다는 것이 말이다. 마치 3M이 쓰레기통에 들어갈 뻔한 기술을 포스트잇으로 발현해 냈다는 것이

어쩜 이런 것일까. 기술이라고 해서 뭐 꼭 대단한 것들의 집합체일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작은 생각,

혹은 별 것아닌 기술도 응용하기 나름이 아닐까. 무엇을 하던지 간에 꼭 새로운 것만을 찾으려고

고집할 필요는 없다는 것. 집착이 창의력을 막을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부터 무언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것 같은 기미가 보인다. 나름 준비를 착실히 해서 작업을

했음에도 실패했다면 다음번엔 분명 실패의 확률이 줄겠지만 얼렁뚱땅 대충 강화유리와 본체의 양면테잎이 다시 붙지 않기 위해 대 놓은 것이... 쩝.

어쨌거나 다 떼어내긴 떼어냈다. 공구도 없어서 칼로 떼어내는 이 무식함. 이 건 자랑이 아닌 것 같다.

떼어내고 보니 와이파이 케이블을 해 먹었다. 강화유리 주변으로 계속 칼질을 해 나가면서 홈버튼 좌측에 뭐가 있다고 하니 그 것만 조심해야지 하고 쓱쓱하다가 와이파이 케이블이 있을줄이야...

지나고 보니 내심 속은 기분이 든다. 업자들이 올려놓은 블로그를 보면서 그래도 믿었건만 와이파이 단자에 대해선 일언반구의 내용이 없다. 그러고 보니 그들 블로그에는 과정이 생략되어 있다. 떼어내는 과정중 후반부가 빠져 있고 다시 깨끗하게 붙이는 과정이 생략되어 있다. 휴... 그 것 믿고 따라한 나도 참.

왜 그랬을까?

 

ㅠㅠ 어쨌거나 뭐 이 것도 경험이라고. 에혀혀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ML 2165 제품의 리필파우더를 구매했다. 재생토너가 아닌 기존의 토너에 파우더를

충전해서 재활용하는 방식의 제품이다.

 

 

제품을 구매할 때 리필충전재도 구매를 했는데 양이 적어서인지 다시 재충전을 해야 할 시기가 와서

구매하게 된 제품이다.

 

동그란 원통형 하나가 2.700원이다. 1회용이라고 나와 있기에 10개를 구매.

 

양을 보니 이렇게 1/3이 들어가 있다. 흠. 통값이 아깞다는 생각은 뭘까.

 

토너는 이전에 구멍을 뚫어놓았기에 이렇게 리필을 한다. 사실 잉크젯프린터의 리필보다 훨씬 수월하다.

 

그냥 구멍뚫고 그 구멍에 이렇게 넣으면 된다. 정말 직관적이지 않나? 단순하니까 말이야.

 

지금은 2,500원으로 내렸다. 내가 살때는 처음 사는 거였는데 흠..10개가 팔리고 나니 판매자가 팔릴 수도 있겠다 싶어 마음 바꿨나 보다. 쩝. 흠.. 웬지 좀 억울한 느낌도 들고 한 판매자에게 의욕을

불러일으켜 주었으니 위안을 삼아야 하나?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695558334&frm3=V2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사무실에서 사용하던 제록스 프린터기가 고장이 났다. 한 5년 사용을 했으려나, 레이저프린터기 같은

경우는 토너비용이 비싸서 가급적 잉크젯을 썼는데 매일 출력해야 하는 용지가 많아지면서 레이저프린터를 사용하다보니 토너를 하나 가는 비용도 6만원이넘게 들어가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토너에 리필을 해서 사용을 했는데 프린터가 맛이 가면서 다른 제품을 찾은 것이 바로 ML-2165이다.         그래서 가격적인 부분을 최상으로

고려하고 재생토너를 사용할 수 있는 제품중에서 찾은 제품이 바로 삼성의 흑백레이저프린터 ml-2165이다.

 

제품을 사용해 보니 종이걸림이 생각보다는 있다. 그 전의 제품과 비교했을때에 말이다. 저렴해서 그런 것일까? 아님 그 전의 제록스가 좋았던 것일까. 구매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하루에 한 번

쯤은 걸리는 듯 하다. 어쩜 사용이 미숙해서 인지도 모르겠지만.

그 외 사용 편의성등은 불편한지는 모르겠고. 디자인은 사진과 같이 단순함의 미학정도?

하긴 가격이 있으니 그 이상 바란다는 것도 조금 욕심인가 싶다.

 

 

화면에 보이는 그대로를 인쇄할 수 있는 화면인쇄버튼이 있다는 것이 특징인데 뭐 그닥.

 

 

 

삼성 레이저프린터를 선택, 구매하게 된 동기가 100% 리필토너를 사용하기 위함이었으니 제품에 호불호가 갈린다면 내 책임으로 안고 갈 문제이다. 리필만 잘 되면 장땡이란 말씀. 제품 안내에 나온 리필방식

인데 이전의 제록스와는 판이하다. 물론 토너는 그대로이고 토너안의 내용물만 충전하는 방식은 같다.

하지만 제록스의 경우 토너옆의 개폐구를 열수가 있어서 단지 그 것을 열고 그 안에 리필하면 되는 것과

달리 이 제품은 아예 그 계폐구가 없다. 그럼 어떻게 하나. 강제로 구멍을 뚫는 것이다. 그리고 그 구멍을

테잎으로 막는다. 자세한 것은 아래 판매자의 안내를 보자.

 

 

 

어찌되었든 아쉬운 자가 우물을 파듯 천공(구멍을 뚫음)을 하고 잉크를 충전했다. 그러고 보니 이 안내를

제대로 숙지못한 것 같다. 내일 확인을 해 봐야 할 것 같다.

마치 윈도우 7까는 것 같다. 절대 정보를 전송하면 안된다. 하긴 윈도무뿐만 아니라 포토샵이나

다른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이긴 하다. 쩝. 아... 제약이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 물건도 돈 많은

사람은 더 비싸게 사고 없는 사람은 싸게 사면 안 될까? 큭. 그냥 삘소리다.

 

 

 

 

아래는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이미 천공을 하고 테이핑을 한 상태이다.

 

이렇게 뚫어버렸다.

 

아래는 리필충전재이다. 그리고 오른쪽은 천공을 하기 위한 천공툴을 달군 토치라이터이다.

 

토치라이터가 더 고급스럽다.

 

 

결론은 레이저프린터 토너 리필은 어렵지 않다. 프린터의 역사만 그러겠냐.

뚫는자와 막는자의 대결. 존경해 마지 않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는 도전과 응전의 역사라고

설파하셨다. 그래 개인의 인생도 마찬가지다. 나에게 다가오는 어려움은 도전이고 나의 태도는

응전이다. 그렇게 발전해 가는 것이다.

 

폼나는 토치라이타 502Jet 이다.

구매는 http://www.11st.co.kr/product/SellerProductDetail.tmall?method=getSellerProductDetail&xfrom=search^prd&prdNo=584114944&trTypeCd=19&trCtgrNo=585021&lCtgrNo=160995&mCtgrNo=165074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