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아이스바 '메로나', 멜론 맛인줄 알았더니 참외 맛


빙그레의 메로나 아이스바. 알고보면 멜론맛이 아닌 참외맛이다. 사진= 시장경제신문DB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빙그레 메로나가 알고보면 참외 맛’이란 글이 올라오며 누리꾼들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다. 수십년 멜론 맛으로 알았던 누리꾼들은 ‘배신감 느낀다’, ‘눈감고 먹어보니 참외 맛 맞다’ 등 다양한 의견을 내고 있다.

메로나는 정말 참외 맛이 맞을까? 본지 취재결과 메로나는 멜론 맛이 아닌 참외 맛을 가미해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 메로나 탄생의 기원은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새로운 맛을 찾기 위해 동남아시아로 시장조사를 갔던 빙그레 개발팀 직원은 멜론을 처음 발견하게 된다. 처음 보는 맛에 반한 개발자는 멜론으로 아이스크림을 만들고자 국내로 들여와 연구에 착수했다.

하지만 멜론으로 만든 아이스크림은 생각보다 맛이 없었고 낯설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 상품화에 자신이 없었다. 개발자는 고심 끝에 멜론의 초록색은 살리면서 멜론과 가장 비슷한 참외 맛을 개발해 '메로나'를 출시하게 된다.

빙그레 관계자는 "초기 멜론이 국내 입맛에 생소해 이와 비슷한 참외 맛을 참고로 해 레시피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어 "참외 맛을 냈지만 성분에 참외가 포함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결국 ‘참외 맛 멜론 아이스바’는 국내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2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메로나는 국민 아이스바 반열에 오를 만큼 많은 이들이 찾는다. 특히 드라마, 영화 등에서 잠깐 나갔다 오는 사람에게 “올 때 메로나”라는 대사가 컬트적 인기를 얻어 유행어처럼 번졌다.

한 누리꾼은 “실제 멜론으로 만든 빙수나 과즙의 맛이 메로나와 달라 이상하다고 생각했었다”며 "이제 ’올 때 메로나‘가 아니고 ’올 때 참외나‘로 해야 하나"라고 글을 올려 많은 공감을 받았다.

비록 참외 맛을 감추고 메로나란 이름을 내세워 고객을 유인했지만 메로나의 참외 맛은 지금까지 이 제품이 롱런할 수 있었던 강점으로 조명받고 있다. 메로나의 폭발적 인기 이후 수많은 멜론 맛 제품이 쏟아졌지만 지금은 대부분 뒤안길로 사라졌다.

빙그레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에게 가장 익숙한 맛은 멜론보다 참외이기 때문에 멜론 맛을 그대로 옮긴 경쟁사 제품은 사라졌다"고 전했다. 아이러니하게 메로나의 가장 큰 경쟁력은 ‘참외 맛’에 있었다는 것.


바나나1%가 함유된 빙그레 바나나우유. 사진= 시장경제신문DB
한편 식약처는 원재료가 들어가지 않고 향이나 타 합성재료를 넣고 마치 원재료가 첨가된 것처럼 표기하는 경우 ‘허위광고’로 보고 있다. 메로나는 멜론성분을 ‘0.1%’ 첨가해 허위광고 시비를 절묘하게 피해 갔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빙그레의 대표 제품 ‘바나나 우유’를 들수 있다. 원래 바나나는 전혀 들어가지 않고 바나나 향만 들어간 제품이었다. 식약처의 원재료 표기 강화 정책 이후 부랴부랴 빙그레는 바나나우유에 1%의 바나나를 첨가해 ‘바나나맛향 우만 들어간 제품이었다. 식약처의 원재료 표기 강화 정책 이후 부랴부랴 빙그레는 바나나우유에 1%의 바나나를 첨가해 ‘바나나맛향 우유’가 될 뻔한 것을 모면하기도 했다

 

 

진짜 메로나라고 방문객준 .유튜브 동영상이다.

https://youtu.be/kRry-9BRqwo?si=K6OuHFov6kxPUrvo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명품 브랜드들이 2000년 후반기부터 제3국으로 공장을 이전, 생산을 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의 루이비통, 이탈리아의 구찌, 영국의 버버리등 명품브랜드들은

중국, 남미, 아프리카, 루마니아, 터키, 멕시코등 인건비가 저렴한 곳에

생산기지를 확보하고 있다.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의 기사에 따르면 루이비통은 루마니아의 한 작은 도시에

공장 "소마레스트"를 세우고 거의 완성된 신발,구두를 제작해 이탈리아에

수출하고 있다. 이탈리아 공장에선 거의 완성된 제품에 밑창을 붙이고 원산지를

메이드 인 이탈리아로 표시한 뒤 세계에 판매하고 있다고 한다.



루이비통만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기업도 마찬가지.


장인이 한 땀 한 땀 정성을 기울여 만드는 것 같지만 의미없는 언플이라는 것이다.


제3국에서 만들어진 공장에서 유출된 소재, 혹은 완제품이 짝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짭은 짭인데...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티스토리 블로그를 보다가 다음까지 연결되고 다음에 보니 다음 블로그가 보인다.

아직은 들어갈 수가 있다.

다음 블로그도 운영하고 있었다. 참 지지리도 ...

태그를 보니 홍보도 하고 뭐 개인 글도 썼었나 보다.

티스토리 글이 2,600개가 넘고 다음글이 600개가 넘으니 젠장.

지금 네이버 블로그 글이 약 1,000개인데 이 거 합치면 3,600개.

네이버 블로그 폭파전까지의 글을 생각하면 아흐...

 

돌아보니 딱히 그렇게 집착하는 성격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평소 내가 알던 나와는 다른 모습인 것 같기도 하고.

돌아보니 학교도 많이 돌아다닌 것 같고 당연히 살던 곳도 많다.

딱히 고향이라고 전라도 화순을 내세우곤 하지만 기억도 뜨문뜨문한 곳이다.

그러다 보니 친구관계도 빈약하다.

 

이제서야 정착? 뭐 그럴 나이가 되어서인지 이렇게 짱박고 보니

지난 일들에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2015년도에 마지막 글이다.

 

 

이렇게 밤늦게 술 한잔 마시다 보면 감상에 젖어든다.

뭔 생각이 그리 많은지,

별 것 아닌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

나이가 들어가면 점점 더 남성호르몬도 감소하고...뭐 그런 이유인가?

꼭 그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난 어릴 때부터 눈물이 많았거든. 젠장.

 

돌고 돌아 결국 네이버로 돌아왔다. 헐... 참 먼 길이다.

 

정착에 익숙해져야 할 수 밖에 없다.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

셀트리온헬스케어 64600원 590주 매도

코나아이 15528원 1500주 매도

에코마이스터 1867언 3500주매도

링크제니시스 5058원 600주매도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