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독립군'에 해당되는 글 1건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은 현재진행형.

민중들은 일제치하에서 나라잃은 설움으로 신음하고 있을때 그 압잡이로 호위호식하며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면 아전인수격 변명으로 일관하며 반성할 줄 모르는 이 시대
일제주구들에게 바친다. 자가당착적 합리화로 일관하지 말고 진정으로 이 땅과 민중들에
반성하며 남은 여생을 바쳐야 하지 않겠느냐.


]한 주를 여는 생각

간도 특설대 
김효순 지음 
서해문집 펴냄

‘간도 특설대’의 항일 독립군 토벌 실상을 밝힌다

얼마 전 국군 첫 4성 장군에다 한국전쟁 때 평양에 가장 먼저 들어간 백선엽씨를 육군 명예원수로 추대하자는 움직임이 요란했다. 그 발목을 잡은 건 그가 간도 특설대 장교 출신이라는 점이었다. 간도 특설대가 뭐길래?

언론인 김효순의 <간도 특설대>는 바로 그 문제를 정면으로 파고든다.

간도 특설대가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 세력을 ‘토벌·소탕’하던 일제의 특수부대가 아니냐는 질문에 특설대 출신자들은 흔히 “독립군은 구경도 하지 못했고, 토벌 대상은 ‘공비’나 ‘팔로군’이었을 뿐”이라고 얘기한단다. 이는 자가당착이다. 일제와 당시 친일신문 등이 ‘공비’, ‘비적’(도둑떼)으로 폄훼했던 이들이 바로 항일독립군이었다. 지은이는 중국에서 공인한 연변(옌볜) ‘항일 열사’ 3125명 가운데 조선인 비율이 98%나 됐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간도 특설대>는 특설대 장교와 만주군 연길(옌지)의 헌병분단 중위였던 백선엽씨의 창씨명이 백천의칙(白川義則)이었다는 사실도 당시의 일본인 연길 헌병분단장의 회고록을 인용해 밝히고 있다. 통상 ‘시라카와 요시노리’로 읽히는 이 이름은 1932년 4월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윤봉길 의사가 던진 폭탄에 맞아 숨진, 관동군사령관 및 육군대신을 역임하고 ‘상하이 사변’ 당시 파견군 사령관이던 바로 그 일본 육군대장 이름이다.

한승동 기자 sdhan@hani.co.kr


간도 특설대 초기의 지휘부. 1930년대 초반 중국공산당 만주 전체 당원 중 거의 절반이 조선인이었고, 동만주 지구당원의 90% 이상이 조선인이었다. 간도 특설대 창설은 이런 상황을 바꾸려는 일제 공작의 연장이었다. 서해문집 제공

항일 무장군 토벌한 손으로 대한민국 요직 접수

[한겨레신문 본문보기]

블로그 이미지

bundy

아나키스트이기보단코스모폴리탄리영희선생이그러더라추구하는건국가가아니라고진실이라고말이야그울림을가슴깊이가지고있는데그게참참쉽진않아진실을위해넌무엇을할수가있냐진실이뭐야.

,